IPFS
여담
BlockReview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리뷰를 NFT화 하는 Contract를 만들었는데 NFT를 저장할 때 통상 IPFS라는 시스템에 저장하게 되더라 일반 URL 저장과 무엇이 다른지 한 번 정리해보려고한다.
IPFS
공식 문서에서는 IPFS는 파일, 웹 사이트, 응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 하기 위한 분산 시스템
이란다.
먼저 IPFS의 특징을 알아보자,
- P2P 분산 파일 시스템 (탈중앙화)
- IPFS 노드에 참여하게되면 FileCoin이란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 HTTP는 URL을 통해 접근하지만, IPFS는 내용으로 접근하게된다.
P2P 분산 파일 시스템 (탈 중앙화)
예를 들어, Aard를 위키피디아 주소로 접근할 수 있다. 이것을 ipfs를 통해 접근하게되면, IPFS로 접근하게되면, 전 세계 IPFS 노드에게 요청을하여 페이지를 공유한다.
이러한 방식을 가져가며 얻는 이익은 아래와 같다.
서버가 공격을 받거나, 서버에 이상이 생겨도
다른 곳에서 동일한 웹 페이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콘텐츠를 검열하기 쉽지 않다.
IPFS의 파일은 요청을 받는 곳을 예상하기 힘들기 때문에 행동을 제약하기 쉽지않다. 토렌트와 같은 불법 다운로드도 위와 같은 이유로 잡아내기 쉽지 않다.서버가 굉장히 멀리있어도, 가까이 있는 노드가 있다면 속도를 높여 빨리 가져올 수 있다
. 요즘은 이것을 일반 서비스에선 CDN으로 해결한다
인센티브 (FileCoin)
IFPS의 클라이언트는 특정 수준의 중복성 및 가용성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고, 스토리지 제공자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마치 비트코인의 pow 처럼 데이터에 대한 증명을 함으로써 FileCoin을 얻게된다.
콘텐츠 주소 지장
IPFS는 HTTP 계층에서 콘텐츠 주소 지정
을 사용한다. 파일의 내용을 가져와서 암호화 해시를 적용해 주소를 만들게 된다 그래서 https://ipfs.io/ipfs/QmXoypizjW3WknFiJnKLwHCnL72vedxjQkDDP1mXWo6uco/wiki/Aardvark.html
같은 형태의 주소가 만들어진다.